Share [다음 스토리펀딩]5화. 평화디딤돌, 첫 돌 놓기의 현장 다음 스토리펀딩 <기억하는 돌, 기록되는 사람> 5화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5화는 지난 4월 5일에 있었던, 서울지역 강제노동 희생자의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기사]평화의 소녀상 옆에 나란히 놓인 ‘평화디딤돌’ -중앙일보 중앙일보 2016.04.06 주한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피해 할머니들을 추모하기 위한 ‘평화디딤돌’ 동판이 설치됐다. 시민단체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기사]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이름 새긴 ‘평화디딤돌’ 고향 마을에 설치 연합뉴스 2016/04/05 한국·일본·독일 민간 차원 협력…서울 4곳 설치 작년 일본서 유골 봉환한 115명 전국에 설치 예정 언론보도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기사]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평화디딤돌’ 설치-한겨례 한겨례 2016.04.05. 일제 강점기 강제노동에 시달리다 숨진 조선인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상징물 ‘평화디딤돌’이 5일 오전 서울 언론보도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평화디딤돌’ 놓기 소개 일제 강점기 희생자를 기리는 – ‘평화디딤돌’ 놓기 – 일상에 새기는 기억, 진실, 평화 사업 배경과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기사]일제 강제노역 희생자 추모 ‘평화디딤돌’ 전국에 설치 – 경향신문 일제 강제노역 희생자 추모 ‘평화디딤돌’ 전국에 설치 – 경향신문 2016년 3월 31일 “일본이 태평양전쟁 당시 언론보도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기사]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기릴 ‘평화디딤돌’ 전국에 놓인다 – 연합뉴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기릴 ‘평화디딤돌’ 전국에 놓인다 – 연합뉴스 2016년 3월 31일 “한국·일본·독일 언론보도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일제강점기 희생자를 기리는 ‘평화디딤돌’ 놓기에 함께 해주세요. 다카하시 가네야쿠. 본적지 경기 경성부 종로5정. 일본의 전쟁수행에 참여한 건설업체인 가와구치구미의 토목공사에 동원되었다가 홋카이도에서 사망. 사망일 공지사항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2012동아시아공동워크숍 안내 지난 1997년 시작된 『홋카이도 슈마리나이 강제노동 희생자 유골 발굴 / 한일 대학생 공동 워크숍』은 이제 동아시아공동워크샵 평화디딤돌 활동소식
Share 젖소들이 뜯는 목초지의 거름이 된 조선인 강제 연행자 젖소가 노니는 땅 홋카이도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산이 사라지고 목초지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 목초지에는 한가로이 2006 동아시아공동워크숍 동아시아공동워크샵 동아시아공동워크숍
Share 아사지노 육군비행장과 강제연행 노동자, 첫번째 이야기 사루후츠 마을, 평화로운 적막 속에 강제연행의 기억이 드리우다 오호츠크해를 마주한 일본 최북단의 무라(마을), 사루후츠는 인구 약 2006 동아시아공동워크숍 동아시아공동워크샵 동아시아공동워크숍
Share 강제연행이란 일본 땅에는 아직도 일제식민지 시절 강제연행 되어 일본으로 끌러가 탄광이나 댐, 비행장 건설현장에서 참혹한 노동을 견디다 2006 동아시아공동워크숍 동아시아공동워크샵 동아시아공동워크숍
Share 조선인 강제연행자들의 삶 슈마리나이의 우류댐, 심에이선 철도공사를 말하다 훗카이도 슈마리나이에 위치한 우류댐 공사는 1938년에서 1943년 사이에 수력발전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습니다. 2006 동아시아공동워크숍 동아시아공동워크샵 동아시아공동워크숍
Share 그들이 절을 찾은 까닭은 그들이 절을 찾은 까닭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한복판에 니시혼간지 삿포로 별원(이하 니시혼간지)이라는 사찰이 있다. 시끌벅적한 도시의 리듬에 2006 동아시아공동워크숍 동아시아공동워크샵 동아시아공동워크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