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1997.07 | 1st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 @슈마리나이 |
1998.02 |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겨울> @슈마리나이 |
1998.08 | 2nd 한일 공동워크샵-‘강제징용 체험자및 유족 인터뷰, 식민지 시대 유물공간재배치, 평화교육심포지엄 @서울 |
1999.02 |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겨울>-‘북조선 인도지원과 동아시아의 과제 @슈마리나이 |
1999.04.02 | 북한 어린이 기아문제연구회 창립 |
1999.05-2000.09 | 탈북청소년 중국 현지 실태조사 3회 (아산사회복지재단 연구지원, 2000. 10. 30. 연구보고서 발간) |
1999.08 | 3rd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함께 살아가며 진실을 느끼고 미래로 @오사카 |
2000.02 |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겨울> -나눔의 집과 위안부역사 @슈마리나이 |
2000.08 | 4th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 동아시아 평화와 시민의 생명 @서울 |
2001.02 | 한일대학생공동워크샵<겨울>- 유키오로시와 보고회 @슈마리나이 |
2001.02 | 남북문화통합연구회로 명칭변경. 통일부 하나원 내 ‘하나둘학교’ 설립, 통일교육 운동에 대한 워크숍 |
2001.06 | 교육부 특별 정책과제연구 수행 |
2001.08 | 5th 동아시아 공동워크샵 – 강제징용 역사 현장 필드워크와 타코베야 강제징용희생자 유골발굴’@슈마리나이 (한일대학생워크샵에서 동아시아공동워크샵으로 명칭변경) |
2001.10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2년도 지원사업 선정 |
2001.12 | 탈북청소년 송년축제 ‘더 크고 싶은 아이들 1′ 공연(여해문화공간) |
2002.02 | 동아시아 공동워크샵 <겨울> – ‘죽은 자의 목소리를 듣다 – 민중사 25년의 발자취’ |
2002.02 | ‘탈북학생 사회, 학교 조기 적응을 위한 특별프로그램’ 개발 (교육부제출) |
2002.03 | 남북문화통합교육원으로 개칭 발족 탈북 청소년 상담실 운영 탈북 청소년 주말 프로그램 셋넷교실 운영 |
2002.05.03 | 탈북 청소년 주말 프로그램 셋넷교실 운영 탈북 무연고 청소년 공동생활배움터 ‘늘푸른학교’ 개교 남북문화통합 연구실 개소 |
2002.08 | 6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 – 강제징용 체험자 및 유족 인터뷰 ‘@ 서울&제주 |
2002.7-2004.8 | ‘남북문화통합 연구 및 상호이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
2002.09-12 | ‘무연고 탈북 청소년 보호제도와 문제점’에 관한 정책 제안 |
2002.12 | 대통령 표창 수상 |
2002.12.29 | 탈북청소년 송년축제 ‘더 크고 싶은 아이들 2’ 공연 |
2003.02 | 동아시아 공동워크샵 <겨울> – ‘동아시아의 가야할 방향-화해와 공동의 가능성’@슈마리나이 |
2003.02 | 탈북 아동.청소년 방과후 공부방 ‘한누리학교’ 개교(양천구) |
2003.05.17 | 통일부 소관 비영리사단법인 등록-(사)남북문화통합교육원 |
2003.06.14 | 한누리학교 개교식 |
2003.08 | 민족 화해 평화 캠프 진행 |
2003.08-12 |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탈북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설립타당성 조사’ 수행 |
2003.08 | 7th 동아시아 공동워크숍 – ‘강제징용역사와 재일조선인 사회, 아이누 역사와 문화와 생활’@슈마리나이 |
2003.12 | 탈북청소년 송년축제 ‘더 크고 싶은 아이들 3’ 공연(한화빌딩대강당) (탈북 무연고 청소년 감소 추세로) 늘푸른학교 임시휴교 |
2004.02 | 동아시아 공동워크샵 <겨울> – ‘강제징용 체험자 인터뷰’@슈마리나이 |
2004.03 | 통일부 소관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
2004.07 |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로 ‘늘푸른학교’ 개편 |
2004.08 | 남북문화통합 캠프진행(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2004.08.08~12 | 8th 동아시아 공동워크샵- ‘동아시아 미래을 위한 제언’@오사카 |
2004.09 | 셋넷학교 개교식 |
2004.09~10 | 남북문화통합 전시회 2회 개최(낙산공원, 교총회관 |
2004.12 | 탈북 청소년 송년 축제 ‘더 크고 싶은 아이들4′(한양대학교 백남음악관, 약 380여명 |
2005.01 | 한누리학교 – 새터민 아동.청소년 지역아동센터 운영한누리학교 둥근마음방 – 놀이치료실과 청소년상담 진행사무국 상담센터 운영 – 프로그램 기획, 진로지도 및 고민상담 |
2005.06.12-23 | 지방거주 새터민 청소년 실태조사(27개 도시, 112명) |
2005.06 | 새터민 청소년·가족과 함께하는 행복한 축제 ‘무지개축제’ |
2005.07 | 재정경제부 지정 공익성 기부금 지정 단체 승인 |
2005.08-10 |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이 함께 하는 미디어 캠프 진행 |
2005.08.22-26 | 남한의 대안학교 학생들과 연합으로 지리산 종주 |
2005.08.04~09 | 9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동아시아, 그 막힘과 트임@안산, 도라산, 인천화교마을 |
2005.09 | 둥근세상 만들기 캠프진행(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2005.10 | 구 일본육군비행장 건설 강제연행 희생지 시굴@아사지노 |
2005.11.19 | 평화토론회 및 영상발표회(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
2005.12.18 | 탈북청소년 송년축제 ‘더 크고 싶은 아이들 5’ 공연(서울여성플라자) |
2006.01 | ‘찾아가는 하나둘학교’ 진행 (26개 지방, 새터민청소년 130명, 남한 교사, 사회복지사 등 73명) |
2006.01.22 | 남북한 청년이 함께 하는 토론연극 |
2006.04 | 새터민 청소년 진학 학교 및 일반학교 방문순회교육 실시(10개 학교, 300여 명) |
2006.05.24 | 백두산 축구단 창단식 |
2006.06. | 서울특별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5년 우수기관 선정 |
2006.08. 17~24 | 10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제 1차 구 일본육군비행장 건설 강제연행 희생자 발굴@아사지노 |
2006.09.18-20 | 통일문화페스티발 교육 |
2006.11.23 | 지방거주 새터민청소년 ‘만남과 외로움’ 무지개청소년센터와 공동주최 |
2006.12.2-3 | ‘평화야놀자’ 강원 캠프 |
2006.12.23 | 이동학교 순회교육 세미나 실시탈북청소년 송년축제 ‘더 크고 싶은 아이들 6’ 공연 |
2007.03-11 |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자원봉사자 육성 및 지원 프로그램 시행 |
2007.03-11 | 남북한 문화이해 순화교육 실시(전국 32개교) |
2007.04-2008.02 | 새터민 청소년의 적성과 직업개발을 위한 커리어 스쿨 사업(고른기회배움터, 셋넷학교 협력 사업) |
2007.05-11 | 평화통일교육 교사양성 강좌 및 워크숍 13회 실시 |
2007.08. 22~26 | 11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 -강제연행 강제노동 희생자 유족 방문, 재일동포 고향 찾기 – “나의 살던 고향은” @경기,경상도,충청도 |
2008.03-11 |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자원봉사자 육성 및 지원 프로그램 시행 |
2008.06 | 한누리학교, 새터민 청소년 교육지원 민간단체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행 |
2008.07. 10~11 | 12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슈마리나이 |
2009.02 | 한누리학교, 새터민 아동 청소년의 어울림과 소통을 위한 심리 브레이크 실시 |
2009.04~12 | 북한이탈주민 지원 자원활동가 양성 프로그램 시행, 서울시 지원사업 |
2009.06.29 | 제1회 남북문화포럼 개최 |
2009.05.02~05 | 13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제 2차 구 일본육군비행장 건설 강제연행 희생자 발굴@아사지노 |
2010.04~12 | 북한이탈주민 지역공동체(마을)만들기 프로그램 시행 |
2010.04.30~05.05 | 14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제 3차 구 일본육군비행장 건설 강제연행 희생자 발굴@아사지노 |
2011.08.17~23 | 15th 동아시아 공동워크숍-‘2011 더불어,공감프로젝트:동아시아@지리산’ |
2012.04~12 | 탈북주민 및 재외동포와 함께 하는 ‘한민족 다문화 삶의 이야기’ |
2012.08.23~29 | 16th 동아시아공동워크숍 공동주최 – 아시베츠 강제연행 희생자 유골발굴@아시베츠 |
2012.06~2013.4 | 북한이탈 학부모 커뮤니티 사업시행. 교과부 지원사업 |
2012.09~2013.5 | 한민족 다문화 삶의 이야기 공동주최 |
2013.04~12 | ‘남북 여성 함께 잘 살기’-서울시 비영리 민간단체 지원사업 |
2013.08.17~23 | 17th 동아시아공동워크숍 공동주최 – 에오로시 발전소・히가시카와 유수지 공사 조선인 강제연행・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발굴@히가시가와 |
2013.08~ | 북한이탈노인 참여나눔터 사업시행 |
2014.04~12 | ‘남북 부모들의 우리아이 함께 키우기(북한이탈주민 지원재단 지원사업) |
2014.08~9 | 한민족 다문화 삶의 이야기 공동주최 |
2015.04~12 | 한누리지역아동센터 – 탈북 가정, 청소년 지원사업 |
2015.04~12 | 남북통합형 돌봄 공동체 모델 개발 사업-남북하나재단 지원 |
2015.05~2017.05 | 남북 엄마들 커뮤니티 <친정집> |
2015.08 | (사)평화디딤돌로 명칭변경 |
2015.09.11~20 | 70년만의 귀향 – 홋카이도 강제징용 희생자 유골 귀환 |
2015.01~12 | 남북 가족의 공유주택 함께 크는 집 만들기 |
2015.08.19~23 | 18th 동아시아공동워크숍 – 경계를 넘어서 연결하자@간사이 |
2016.03 | 평화디딤돌 놓기- 이름없는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물설치 with 동아시아시민네트워크, 김서경김운성 조각가, 독일 군터 뎀니히 |
2016.06 | 사회주택 설명회 – 문화소통 공간만들기 |
2016.8.20~23 | 19th 동아시아공동워크숍 – 기억을 새기는 평화 여행@홋카이도 (70년만의 귀향 115위의 평화디딤돌 설치) |
2017.01 | 역사 교육 연구_희망과 연대의 겨울 ‘한-일 평화와 공존의 길을 찾는 답사 |
2017.02 | 동아시아공동워크숍 -<겨울> 홋카이도 야요이지역 새로운 증언 인터뷰@슈마리나이, 테시오야요이 |
2017.03 | 한누리지역아동센터 29인시설로 상향 인증 |
2017.08.03~07 | 20th 20주년 동아시아공동워크숍 -‘당신을 만나러 왔습니다’@슈마리나이 |
2017.08 | 일제강지징용 희생자 매몰지 현장조사와 발굴@홋카이도 테시오 야요이 |
2017.09.23 | 디딤돌길 걷기@서울 |
2017.10.28 | ‘디딤돌 놓기’와 ’70년만의 귀향’묘역 추모제 @파주 |
2018.02.12 | 외교부 강경화 장관 한누리지역아동센터 방문 |
2018.03 |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사진전 with 손승현 작가@여의도 벙커 한국인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봉환을 위한 국제회의@국회 도서관 |
2018.03.23 | 탈북청소년 초기 교육 전문가 간담회 @남북하나재단 |
2018.04 | 한누리지역아동센터 외교부 방문 견학 |
2018.04.20 | 정병호 대표의 ‘탈북민에 대한 이해 및 통일역량의 전반적 강화를 위한 특강’@남북하나재단 |
2018.06.16 | 이 동네 사람-디딤돌놓기 : 길영산, 천협춘 @안산시 고잔동, 시흥시 정왕동 |
2018.07.18 | JTBC 차이나는 클라스 – 정병호 대표 ‘민족과 국민, 무슨 차이야’ 특강 |
2018.08.09 |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 발족 – 공동단체 |
2018.8.03~08 | 21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동아시아평화의 트라이앵글-새로운 평화를 찾아서 @대만 |
2018.09.21 | 외교부 조현 외교부 차관 한누리지역아동센터 방문 |
2018.10.09 | ‘이 동네 사람-디딤돌 놓기’와 70년만의 귀향 묘역 추모제 @파주 용미리 임상봉@용미리 용미초교앞 |
2018.10.31 | 강제노동 관련 역사지 가이드북 ’12:34 시간여행자 가이드북 – 홋카이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간회 |
2018.11.10 | 이 동네 사람 – 디딤돌놓기 : 안태복, 임주황 @서울 성북구 |
2019.01.31 | 외교부 기획정책실장 한누리지역아동센터 방문 |
2019.02.14~18 | 22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아름다운 섬 오키나와에서의 강제동원과 오키나와 전쟁 @오키나와 |
2019.08.16~20 | 23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3.1에서 촛불까지-동아시아 평화인권을 위한 발걸음 @서울, 파주 |
2019.08.16 | 이 동네 사람 – 디딤돌놓기 : 최창근, 김재희, 임용우@동인천역 |
2019.10.09 | 이 동네 사람 – 디딤돌놓기 : 박점용, 현종익@종로구(재설치) |
2019.10.19 | ‘이 동네 사람-디딤돌 놓기’와 70년만의 귀향 묘역 추모제 @파주 용미리 한인덕@ 동소문동, 오규광@돈암동 |
2019.11.10 | 이 동네 사람 – 디딤돌놓기 : 신현옥, 김필남, 박점용@신당동 |
2019.11.22 | 한누리지역아동센터 외교부 방문 견학 |
2019.12.12 | 잊혀진 영혼들-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발굴과 귀환@정동1928아트센터(공동주최) ‘길고 긴 잠(So long asleep)’상영회/ ‘유골을 말하다’ 도노히라 요시히코 대담/ ‘유족의 삶을 말하다’ 플레이백 시어터/ 정태춘 ‘징용자 아리랑’ 추모공연/’70년 만의 귀향’사진전 |
2020.01.21 | 외교부 강경화 장관 한누리지역아동센터 방문 |
2020.02.08~12 | 24th 동아시아공동워크샵-오키나와 모토부쵸 켄켄 유골의 공동발굴 @오키나와(2/8~12) |
2020.02 | 정병호 이사장 ‘고난과 웃음의 나라-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야기’ 책 발간 |